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틱톡, 중국 공산당 전쟁무기로 부각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틱톡 금지법’의 시행을 1차에 이어 다시 2차로 75일간 유예하기로 결정을 내렸다. 연방 의회는 틱톡의 모기업인 중국 바이트댄스가 미국인 개인정보를 대규모로 수집하는 등 국가안보를 위협할 우려가 있다며 작년 4월 ‘틱톡금지법’을 제정했는데, 당초 지난 1월19일 시행될 예정이었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하면서 1차 75일 유예에 이어 또 다시 75일 유예하기로 했다.   이런 가운데 독일.프랑스 합작 공영방송 ‘아르떼’는 지난 주 특별 제작된 방송 프로그램을 통해 “틱톡은 이제 단순한 소셜미디어가 아니라, 패권 경쟁을 위한 도구로 변질됐다”고 꼬집었다. 실제 방송에서 인터뷰에 나선 군사전문가들은 “틱톡이 중국 공산당의 감시.선전.통제 수단이자 전쟁의 핵심 무기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했다.   한 전문가는 틱톡이 이미 중국 공산당의 ‘인지전’ 도구로 활용되는 수준에 도달했다며, 인지전은 심리전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간 개념이라고 설명했다. 워싱턴 한인사회 한 IT 전문가는 “중국 공산당은 사회신용체계를 구축해 모든 사람의 행동과 생각을 통제, 수집한다”며 틱톡은 그 핵심적 도구라면서 “이런 시스템을 해외로 수출하면 바로 무력 충돌 없이 그 국가를 공산주의식 통제 사회로 바꿔버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성한 기자 [email protected]중국 전쟁무기 틱톡 공산당 틱톡 금지법 트럼프 대통령

2025-04-23

틱톡, 결국 미국 서비스 중단…일부 재개

“죄송합니다. 지금 틱톡은 이용 불가능합니다.”     세계적 인기를 누리는 중국계 숏폼 동영상 소셜미디어 틱톡의 미국 내 서비스가 미국의 ‘틱톡 금지법’ 발효 직전인 18일 밤부터 중단됐다. 미국 내 이용자가 1억 7000만명에 달하는 틱톡 서비스가 중단되면서 이용자들이 술렁이고 있다. 이런 가운데 20일 취임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은 틱톡 서비스 재개에 의지를 보이고 있다.     틱톡은 구글과 애플이 운영하는 미국 앱스토어에서 동부시간으로 18일 밤부터 삭제됐다. 계정 소유자가 틱톡 접속을 시도하면 “미국에서 틱톡을 금지하는 법률이 제정돼 안타깝게도 지금은 틱톡을 이용할 수 없습니다”라며 “트럼프 당선인이 취임 후 틱톡 재개를 위한 해결책을 위해 우리와 협력하겠다고 한 것은 다행입니다. 계속 지켜봐 주세요!”라는 안내문이 떴다.     미국 내 틱톡 사용자 데이터를 자사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관리해 온 미국 소프트웨어 업체 오라클도 18일 밤부터 틱톡 서버를 폐쇄할 준비에 착수한다고 전했다.   틱톡은 미국 내 사용자가 인구 절반가량인 1억 7000만명에 달할 정도로 영향력이 큰 소셜미디어다. 사용자들은 단순히 동영상을 공유할 뿐만 아니라, 최신 소식이나 정보도 틱톡으로 얻는다.     연방 의회는 틱톡 모기업인 중국 바이트댄스가 미국인 개인정보를 대규모로 수집하는 등 국가안보를 위협할 우려가 있다며 작년 4월 금지법을 제정했다. 중국 IT기업은 당국 요청에 따라 영업 정보를 제공할 의무가 있어 미국인 정보가 중국 공산당에 넘어가 정치적으로 악용될 소지가 있다는 것이 주된 이유다. 바이트댄스가 미국 사업권을 미국 내 기업에 매각하지 않으면 19일부터 틱톡 신규 다운로드 등을 금지한다는 내용도 금지법에 담았다.     다만 트럼프 당선인은 19일 트루스소셜에서 “틱톡의 미국 사업권 매각 기간을 늘리는 행정명령을 취임 직후 발표할 것”이라며 틱톡 서비스를 복구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첫 임기 때 틱톡을 금지하려 했던 그는 작년 11월 대선 과정에서 틱톡을 선거운동에 적극 활용했고, “틱톡을 금지하면 젊은 층이 분노할 것”이라고 밝히는 듯 틱톡 퇴출 반대로 돌아섰다.   한편 틱톡 측은 19일 "트럼프 측이 어떠한 처벌도 받지 않을 것이라는 확신을 줬다"며 서비스 복구 절차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또 "미국에서 틱톡을 유지할 수 있는 장기적 해결책을 모색하겠다"라고 덧붙였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애플 미국 틱톡 서비스 틱톡 금지법 서비스 중단

2025-01-19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